1,400억 들여 만든 시설이 10년째 방치?! 고치는 데만 100억이라니…

"이럴 거면 왜 만들었냐고요!"
도시에서 쓰레기차 없는 미래를 꿈꾸며 1,400억 원을 투입해 만든 인천 영종도의 쓰레기 자동집하시설! 하지만 현실은?
10년 넘게 가동조차 못 하고 방치 중!
게다가 시설을 복구하는 데만 100억 원 이상이 든다는데요… 도대체 무슨 일이 벌어진 걸까요? 🤔
🔍 1,400억짜리 시설, 왜 가동되지 못했나?
2014년, 인천 영종도에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이 설치되었습니다.
이 시설의 목표는?
✔ 쓰레기차 없이 깨끗한 거리 만들기
✔ 지하 관로를 통해 자동으로 쓰레기 처리
그런데 현실은? 가동 한 번 없이 방치됐습니다.
시설들은 온통 천으로 덮여 있고, 상가에도 똑같이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이 버려진 채 남아 있죠.
이렇게 10년 넘게 방치된 이유는 뭘까요?
👉 근본적인 설계 결함 때문입니다! 😵💫
🛠 "고칠 수는 있지만… 비용이 100억 원?"
이 시설을 맡은 기관은 LH공사, 하지만 문제는 관할 구청이 인수를 거부하면서 시작됐습니다.
왜냐고요?
🚨 시설 구조상 심각한 고장 우려가 있었기 때문!
🔸 일반 종량제 쓰레기와 음식물 쓰레기가 따로 투입되는 것처럼 보이지만…
🔸 지하에서는 하나의 관으로 합쳐짐 → 문제 발생 ⚠
🔸 음식물 쓰레기의 3분의 2가 관로에 그대로 남아버리는 구조 😱
🔸 결과? 쓰레기가 쌓이고, 고장이 잦아 가동 불가
실제로 비슷한 시설을 운영하는 인천 송도에서도 여러 차례 고장이 발생했고,
수리비만 수십억 원씩 투입됐습니다.
이런 사정을 알고 있던 구청은 시설 인수를 계속 미뤄왔던 것이죠.
💸 1,400억 원, 누가 부담했을까?
이 시설을 짓는 데 들어간 돈 1,400억 원!
이 비용은 누가 부담했을까요?
🏠 아파트 한 세대당 약 300만 원
🏢 상가는 1억 원씩 분담
하지만 정작 시설이 한 번도 제대로 작동한 적 없음 🤯
주민들은 분노할 수밖에 없는 상황!
🗣 "우리 돈을 그냥 길거리에 버린 기분이에요!"
결국 2년 전, 관할 구청이 마지못해 시설을 맡았지만…
🔹 10년 방치된 시설을 수리하는 데만 100억 원 이상 💰
🔹 설령 고친다고 해도 제대로 작동할지 미지수
📢 "이대로 둘 건가요?" 해결책은?
🚛 만약 이 시설을 살리려면?
✅ 기본적인 구조 문제부터 해결해야 함
✅ 이미 낸 주민들의 돈, 제대로 쓰일 방법 고민 필요
✅ 비슷한 사례(송도) 분석 후 장기적인 운영 계획 필수
이 시설이 주민들의 혈세로 만든 것인 만큼 더 이상 방치해서는 안 됩니다.
1,400억 원이 들어간 만큼 정확한 원인 분석과 대책이 필요하겠죠.
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? 🤔
💬 댓글로 의견 남겨주세요! 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