google.com, pub-7277114465576653, DIRECT, f08c47fec0942fa0 1월 산업활동 '트리플 감소'! 어머나, 이게 무슨 일이야?

이슈

1월 산업활동 '트리플 감소'! 어머나, 이게 무슨 일이야?

modusara.co.kr 2025. 3. 4. 23:25

소비·투자 '트리플 침체'

생산·소비·투자 모두 하락, 경제에 빨간불!


2025년 1월, 우리나라 경제의 주요 지표인 생산, 소비, 투자가 모두 감소하며 '트리플 감소' 현상이 나타났습니다. 이는 2020년 2월 이후 약 5년 만에 가장 큰 폭의 감소로,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.

산업 생산: 전산업 생산 2.7% 감소


1월 전산업 생산지수는 전월 대비 2.7% 감소하여 2020년 2월(-2.9%) 이후 최대 감소폭을 기록했습니다. 광공업 생산은 2.3% 감소했으며, 특히 전자부품(-8.1%)과 기계장비(-7.7%) 부문에서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습니다.

소비: 소매판매 0.6% 감소


소비를 나타내는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0.6% 감소했습니다. 의복 등 준내구재(-2.6%)와 화장품 등 비내구재(-0.5%) 판매가 줄어든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됩니다.

투자: 설비투자 14.2% 급감


투자 부문에서는 설비투자가 전월 대비 14.2% 감소하여 2020년 10월(-16.7%) 이후 가장 큰 폭의 감소를 보였습니다. 이는 반도체 제조용 기계 등 기계류(-12.6%)와 기타운송장비 등 운송장비(-17.5%) 투자가 모두 줄어든 데 기인합니다.

건설기성: 4.3% 감소


건설기성(불변)은 건축(-4.1%)과 토목(-5.2%) 부문에서 공사 실적이 모두 줄어 전월 대비 4.3% 감소했습니다. 이는 2020년 3월(-9.4%) 이후 가장 큰 폭의 하락세로, 건설 경기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.

경기 지표: 동행·선행지수 모두 하락


현재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 대비 0.4포인트 하락했으며, 향후 경기를 예고하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도 0.3포인트 떨어졌습니다. 이는 경기 부진 우려를 더욱 가중시키는 요인입니다.

전문가 의견: 경기 회복을 위한 적극적 대응 필요


전문가들은 이번 '트리플 감소' 현상이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와 소비, 건설투자 등 내수 회복 지연에 따른 것이라고 분석하며, 정부와 기업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지적합니다. 특히, 내수 활성화와 투자 촉진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시급하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습니다.


2025년 1월의 '트리플 감소' 현상은 우리 경제에 큰 경고 신호를 보내고 있습니다.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와 기업, 그리고 국민 모두가 힘을 합쳐 경제 회복을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때입니다. 적극적인 투자와 소비 촉진, 그리고 혁신적인 정책 도입을 통해 어려움을 극복하고 새로운 도약을 이뤄내길 기대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