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화는 환불받았다는데… 왜 그런 걸까?
안녕하세요!
믿고 보는 뉴스 정리하는 블로그, 모두사라입니다
오늘은 미국 트럼프 전 대통령의 **취임식 기부금 스캔들(?)**에 대해 다뤄볼게요!
생각보다 금액이 어마어마해서 깜짝 놀랄지도 몰라요
그럼 시작합니다!
1. 도대체 무슨 일이야?
2025년 1월 20일, 미국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또 한 번 취임식을 했어요.
(맞아요. 그 유명한 트럼프)
그런데 이 취임식을 위해 전 세계 기업들로부터 후원금이 모였고,
우리나라의 대기업들도 그 리스트에 있었던 거죠.
2. 얼마나 기부했냐고?
- 현대자동차 미국 법인:
무려 100만 달러, 한화로 약 14억 2천만 원! - 삼성전자 미국 법인:
약 31만 5천 달러, 한화로 약 4억 5천만 원! - **쿠팡의 미국 모회사(Coupang INC)**도
현대차와 같은 금액, 100만 달러 기부!
진짜… 숫자만 봐도 입이 떡 벌어지죠?
이건 그냥 후원이라기보다 거의 스폰서 느낌?
3. 그런데 한화는 ‘환불’ 받았다고?
한화도 기부했어요!
- 한화디펜스 미국법인: 2024년 12월 11일에 50만 달러 기부
- 한화큐셀 미국법인: 2025년 1월 6일에 50만 달러 기부
근데요…
둘 다 **“환불됨(refunded)”**으로 처리됐다는 사실!
- 한화디펜스: 2024년 12월 23일 환불
- 한화큐셀: 2025년 4월 18일 환불
무슨 이유일까요? 이미지 문제? 정치적 판단? 아직 공식 입장은 없어요.
하지만 **‘부담’**을 느낀 흔적이 보이네요.
\
4. 왜 이런 기부를 하지?
그 이유, 궁금하시죠?
미국에서는 대통령 취임식이 일종의 축제+정치 이벤트인데요,
여기에 **기업들이 기부를 하면 ‘좋은 관계 유지’**에 도움이 될 수 있어요.
특히 미국에 법인을 둔 외국 기업이라면 더더욱!
“나 미국 사랑해요~!”
“정책 잘 부탁드려요~!”
하는 일종의 메시지 전달인 거죠.
5. 이런 기부, 불법은 아냐?
미국 연방선거위원회(FEC)에 모든 기부 내역은 공개되고,
법적으로도 큰 문제는 없어요.
다만, 국민들 입장에서는 “아니 왜 우리 돈으로??” 싶은 거죠.
그 나라의 대통령 취임식에
왜 국내 기업들이 돈을?
이건 항상 뜨거운 감자예요.
6. 여러분 생각은 어떤가요?
- 기업 이미지에 도움이 된다?
- 정치적 리스크를 피하려는 전략적 선택?
- 혹은... '괜한 일'이었다?
한화처럼 기부했다가 돌려받는 선택은 드문데,
그 결정도 어쩌면 나름의 고민 끝이었을 수도 있겠네요.
요약 정리!
현대차 | 100만 달러 (약 14억) | 없음 |
삼성전자 | 31.5만 달러 (약 4.5억) | 없음 |
쿠팡 INC | 100만 달러 | 없음 |
한화디펜스 | 50만 달러 | 환불 (2024.12.23) |
한화큐셀 | 50만 달러 | 환불 (2025.04.18) |
함께 보면 좋아요!
- [트럼프의 더티 15 관세 정책, 한국 기업들 영향은?]
- [미국 기업문화 따라잡기: 왜 취임식에 기부하나?]
- [한화의 환불 사례로 보는 글로벌 정치 후원금 리스크]
이상, 모두사라 블로그였습니다!
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 꼭 부탁드려요!
다음 이슈로 다시 돌아올게요!
'경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더티 15?!] 트럼프표 관세폭탄에 한국 기업도 긴장! (1) | 2025.04.24 |
---|---|
[불붙은 트럼프표 관세전쟁] 물가도 민심도 흔들린 미국 (1) | 2025.04.24 |
[기부했다가 환불?!] 한화의 결정이 보여주는 글로벌 리스크 (3) | 2025.04.24 |
부광약품, 1분기 흑자전환! 덱시드ㆍ라투다의 조용한 반란 (8) | 2025.04.24 |
[프랑스, 샴푸도 치약도 줄였다?! 명품국의 반전 현실] (2) | 2025.04.1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