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"그때 샀어야 했는데…"
"그때 샀어야 했는데…"
이 말, 요즘 부동산 카페나 커뮤니티에서 자주 들리죠.
서울 송파구의 '잠실주공5단지'가 드디어 전용 82㎡ 기준 40억 원을 넘겼다는 소식에, 많은 이들이 충격과 후회를 동시에 느끼고 있어요.
2. 4개월 새 무려 6억 원이나 상승한 잠실주공5단지.
4개월 새무려 6억 원이나 상승한 잠실주공5단지.
2021년 부동산 광풍기에도 32억 원이 최고가였던 아파트가, 2025년 들어 갑자기 치솟기 시작했습니다.
거래월실거래가 (전용 82㎡ 기준)
2025.01 | 34억 7500만원 |
2025.02 | 35억 7500만원 |
2025.03 | 39억 7500만원 |
2025.04 | 40억 7500만원 |
도대체 왜 이 아파트만 이렇게 오른 걸까요?
3. 도대체 왜 이 아파트만 이렇게 오른 걸까요?
① 입지 + 개발 호재:
한강변 + 초고층 재건축 추진 (최고 70층 규모)
② 공급 제약:
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에도 불구, 신규 공급 없음
③ 실거주 + 투자 수요:
강남권 핵심지 희소성 + 실거주 대기수요 집중
4. 서울 아파트 전반적인 흐름은?
한국부동산원 발표에 따르면
2025년 4월 4주차 기준, 서울 23개 자치구 모두 아파트값 상승세!
특히 강남 3구와 용산구, 마포구 등 이른바 '프리미엄 지역'에서 상승폭이 두드러집니다.
- 강남구: 0.19%
- 서초구: 0.18%
- 송파구: 0.18%
- 용산구: 0.15%
- 마포구: 0.17%
강남권 + 한강변 + 재건축 = 프리미엄 3종 세트
5. 기버·테이커·매처
- 기버(Giver): 실거주 목적의 장기적 시야로 접근한 사람들은 지금 큰 자산 증식 효과를 봤습니다.
- 테이커(Taker): 단기 차익 노리는 투자자는 규제에 막혀 매도 타이밍을 놓쳤을 수도...
- 매처(Matcher): 일정 수준에서 안정적 투자와 실거주를 병행하려는 사람들에게는 잠실주공5단지가 가장 이상적 선택지였던 셈이죠.
6.지금이 그 분기점일지도 모릅니다.
한강변, 재건축, 강남권 입지라는 3박자를 모두 갖춘 잠실주공5단지.
‘언젠가는 오른다’는 말이 실현된 사례입니다.
하지만 이 흐름은 단지 하나로 끝나지 않습니다.
서울 핵심 입지를 중심으로 한 국지적 상승, 지금이 그 분기점일지도 모릅니다.
'경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와! 규제해도 왜 계속 오르죠?] 서울 핵심지 규제와 공급 대책 분석 (0) | 2025.05.05 |
---|---|
[경기지역화폐 단속 시작] 결제 거부·불법 환전 막는다! (3) | 2025.05.04 |
[미국 기업문화 따라잡기] 왜 취임식에 기부하나? (7) | 2025.04.24 |
[더티 15?!] 트럼프표 관세폭탄에 한국 기업도 긴장! (1) | 2025.04.24 |
[불붙은 트럼프표 관세전쟁] 물가도 민심도 흔들린 미국 (1) | 2025.04.24 |